본문 바로가기

환경

미세먼지 절반 줄인 도시숲! 산림청이 답을 찾았다!

반응형

미세먼지는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산림청은 미세먼지 저감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27년까지 1인당 도시숲 면적을 15㎡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실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숲이 조성된 지역에서는 미세먼지가 크게 줄어들고, 호흡기 질환 발생률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시간 대기정보

 

도시숲이 미세먼지를 줄이는 원리

나무는 미세먼지를 흡착하고 대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잎이 많고 표면이 넓은 나무일수록 더 많은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도시숲이 있는 지역에서는 미세먼지가 최대 4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 평택시 포승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출처: 산림청)
▲ 경기도 평택시 포승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출처: 산림청)

도시숲이 건강에도 도움을 줄까?

단순히 공기질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시숲이 조성된 지역에서는 호흡기 질환 진료 건수가 43.4% 감소했습니다. 특히 천식이나 기관지가 약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해외 도시숲 사례 비교: 일본 vs 독일

  • 일본 (도쿄의 메이지 신궁 숲): 도심 한가운데 조성된 숲으로, 공기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크며 관광 명소로도 활용됨.
  • 독일 (프라이부르크의 녹색 도시 프로젝트): 도시 전역에 녹지를 확대하고 친환경 건축과 결합하여 기후변화 대응.

이처럼 도시숲은 미세먼지 저감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 휴식 공간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산림청의 도시숲 확대 계획

산림청은 2019년부터 전국적으로 588개소의 기후대응 도시숲을 조성하였으며, 2027년까지 1인당 도시숲 면적을 15㎡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주요 사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도시바람길숲 (17개 도시) – 도심으로 신선한 공기를 유입
  • 자녀안심그린숲 (279개소) – 학생들의 건강한 등굣길 조성
  • 기후대응 도시숲 (588개소) – 미세먼지 저감, 탄소 흡수 역할 수행

▲ 울산 북구 미포국가산단 기후대응도시숲 (출처: 산림청)

미세먼지 줄이기 위한 실생활 팁

도시숲이 많아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실천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미세먼지 예보 확인하기
    환경부 에어코리아에서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세요.
  • 미세먼지 차단식물 키우기
    스투키, 산세베리아, 고무나무 등은 공기정화 효과가 뛰어나 실내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대중교통 이용하기
    자동차 배기가스도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이므로, 가능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시숲 확대는 필수!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산림청의 도시숲 조성 사업은 단순한 녹지 확대가 아니라, 국민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앞으로 도시숲을 더 늘려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며, 개인 차원에서도 미세먼지 줄이기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