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환경교육사 자격증, 100% 지원받고 전문가 되자!

반응형

최근 기후 변화와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환경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가르칠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환경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교육사’ 국가자격증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더욱 체계적인 양성과정과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 환경교육 전문가의 수요를 충족할 예정입니다.

 

 

양성과정 연간일정

 

환경교육사 자격증이란?

환경교육사는 환경 보호에 대한 교육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전문가입니다.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강의와 체험 교육을 통해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2015년부터 국가자격증으로 도입되었으며, 환경 단체, 기관, 학교 등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1~3급으로 구분되며, 현재 2·3급 과정 운영
  • 2024년까지 총 3,171명의 환경교육사 배출
  • 환경교육 기관, 단체, 학교에서 강사 및 기획자로 활동 가능

2025년 환경교육사 양성과정 운영

환경부는 2025년에도 전국 14개 교육기관을 통해 환경교육사 양성과정을 운영합니다.

 

주요 일정

  • 2급 과정: 2월 19일~21일 접수
  • 3급 과정: 2월 26일~28일 접수
  • 선착순 모집이므로 빠른 신청 필요!

양성과정을 수강한 후 필기 및 실기 평가를 통과하면 환경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환경교육사 취업 및 지원 정책

환경부는 환경교육사의 취업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합니다.

 

교육비 지원

  • 청년·저소득층: 교육비 전액(100%) 지원
  • 일반인: 교육비 30% 지원

보수교육 의무 이수

환경교육사는 3년마다 7시간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환경부에서 보수교육비(7만 원)를 지원합니다.

 

인턴십 및 취업 연계

환경교육사들이 실무 경험을 쌓고 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견습생(인턴십) 과정도 운영됩니다.

  • 월 215~255만 원 인건비 지원
  • 정규직 전환 시 추가 인건비(2개월) 지급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 절차

환경교육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일정에 맞춰 신청하고, 과정을 이수한 후 평가를 통과해야 합니다. 아래 도식은 신청부터 자격 취득, 교육비 지급까지의 전체 절차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 환경교육사 자격취득 교육비 지원 절차

  • 교육 신청: 상반기(2~3월) / 하반기(7~8월)
  • 과정 수강 및 시험 응시: 상반기(4~7월) / 하반기(8~11월)
  •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 상반기(8월) / 하반기(12월)
  • 교육비 지급: 상반기(9월) / 하반기(12월)

환경교육사 자격을 취득하면 환경 교육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으며, 환경부에서 교육비 지원 및 취업 연계 기회도 제공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환경교육사 자격평가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환경교육 전문가로 성장할 기회!

환경교육사는 단순한 강사가 아니라, 환경 보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전문가입니다. 환경부의 적극적인 지원 덕분에 더욱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취업까지 연계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환경을 사랑하고 교육에 관심이 있다면, 환경교육사 자격을 취득해 미래 환경 전문가로 성장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