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공개한 2025 심혈관조영 방사선 기준, 환자와 의료진이 꼭 알아야 할 이유
심장 검사를 받을 때 방사선을 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심혈관조영촬영이나 중재시술은 일반 X-ray보다 훨씬 많은 양의 방사선이 사용됩니다. 그래서 질병관리청은 2025년부터 ‘진단참고수준’이라는 기준을 새롭게 제시했어요. 환자에게 꼭 필요한 만큼만 방사선을 사용하도록 병원에 권고하는 기준이죠.
진단참고수준이란? 환자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선
진단참고수준(DRL: Diagnostic Reference Level)은 말 그대로 “방사선을 쓸 때 이 정도까지만 쓰자”는 권장 기준입니다. 이 기준은 실제 시술 데이터를 바탕으로 75% 환자가 받는 수준으로 정해집니다. 병원이 이 기준을 초과하면 장비를 조정하거나, 시술 방법을 개선하도록 권고됩니다.
어떤 시술에서 방사선이 많이 쓰일까?
대표적인 7가지 시술의 평균 방사선량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시술명 | 선량면적곱 (mGy·cm²) | 방사선 투시시간 (초) |
---|---|---|
관상동맥 조영술 (CAG) | 18.68 | 440 |
CAG + PCI | 63.40 | 1,201 |
CAG + PTCA | 53.89 | 1,284 |
CAG + SPASM | 25.44 | 341 |
급성심근경색 시술 (AMI) | 58.52 | 947 |
만성 완전 폐쇄 병변 시술 (CTO) | 106.83 | 2,819 |
PCI 단독 | 49.94 | 1,479 |
이 수치를 보면, 시술에 따라 방사선량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의료진이 꼭 기준을 참고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실제 포스터로 보는 진단참고수준
아래는 질병관리청이 배포한 공식 포스터입니다. 방사선량과 투시시간 기준이 한 눈에 보이죠.
방사선 안전, 의료진과 환자가 함께 지켜야 해요
방사선은 필요한 만큼만, 안전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권장하고 있어요.
- 필요한 경우에만 검사/시술 진행
- 방사선 최소 사용 장비 설정
- 개인 피폭선량계 착용
- 투시시간 줄이기, 영상 확대 줄이기
- 환자 보호용 장비 철저히 착용
관련 링크: 기준 원문과 가이드라인은 여기서 확인
더 자세한 기준은 질병관리청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 의료방사선 안전관리
방사선 종사자 피폭량 감소, 의료기관 안전 강화와 향후 과제
최근 5년 동안 방사선관계종사자의 1인당 연간평균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0.37 mSv로, 2019년 대비 17.8% 감소했습니다. 이는 방사선 노출을 줄이기 위한 각종 제도
xdnpq.tistory.com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원식물 2025년 4월 산수국, 꽃 색깔을 내 마음대로? (0) | 2025.04.06 |
---|---|
[날씨 2025년 4월 6일] 짙은 안개·빙판길에 아찔! 오늘 외출 괜찮을까? (0) | 2025.04.06 |
생태관광지 2025년 4월, 제비 보러 남해 앵강만 가자 (0) | 2025.04.05 |
[날씨 2025년 4월 5일] 식목일 봄비와 강풍…우산 꼭 챙기세요! (0) | 2025.04.05 |
인천시 인구 증가 1위, 천원주택 왜 몰렸나?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