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국민 삶의 질 2024, 더 좋아졌을까? 결과가 달라졌다!

반응형

여러분은 요즘 행복하다고 느끼나요? 돈, 건강, 가족, 환경 등 여러 가지가 우리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요. 통계개발원은 매년 국민 삶의 질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발표합니다. 2024년 보고서에서는 한국 사회가 지난 1년 동안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분석했어요.

 

이 글에서는 우리 삶과 관련된 변화를 쉽게 정리해볼게요. 경제, 건강, 환경, 가족관계 등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함께 살펴보아요!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2024년 삶의 질, 좋아졌을까?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40개 지표는 개선, 24개 지표는 악화, 7개 지표는 변화 없음으로 나타났어요.

  • 좋아진 점: 고용률 증가, 주택 임대료 부담 완화, 대학 졸업자 취업률 상승
  • 나빠진 점: 자살률 증가, 가족관계 만족도 하락, 미세먼지 악화

코로나19 이후 빠르게 회복하던 사회가 다시 정체되는 느낌이에요.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요?

국민 삶의 질 지표 상황판 (2024년 12월 기준)
▲ 국민 삶의 질 지표 상황판 (2024년 12월 기준)

 

  • 2024년 12월 말까지 공표된 통계를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임. 다만, 지표의 시의성을 고려하여 고용률, 실업률 지표는 2025년 1월 공표된 자료를 반영하여 2024년 4분기 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 표시된 지표는 2년 이상 주기 지표로 2024년에 통계가 공표되지 않아 2023년 12월 기준과 동일
  • 지표누리: 국민 삶의 질 지표
  •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경제와 고용: 일자리는 늘었을까?

  • 고용률: 2020년 60.1% → 2024년 62.7% (일자리 증가)
  • 대학 졸업자 취업률: 2020년 65.1% → 2023년 70.3% (졸업 후 취업률 상승)
  • 가구 중위소득: 2023년 기준 증가세 지속

일자리는 늘었지만, 모두가 만족할 만큼의 질 좋은 일자리일까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요.

건강과 환경: 숨쉬기 편해졌을까?

  • 자살률: 2022년 25.2명 → 2023년 27.3명 (더 많은 사람이 극단적 선택을 함)
  • 미세먼지 농도: 코로나19 이후 다시 악화
  • 여가시간: 2021년 4.4시간 → 2023년 4.1시간 (바쁜 일상, 여유 시간 줄어듦)

정신 건강 문제는 더 심각해졌고, 공기는 다시 나빠지고 있어요. 우리가 건강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가족과 공동체: 사람들 사이의 신뢰는?

  • 가족관계 만족도: 2022년 64.5% → 2024년 63.5% (가족 사이가 더 멀어졌을까?)
  • 기관 신뢰도: 2021년 55.4% → 2023년 51.1% (정부나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 감소)
  • 대인 신뢰도: 2021년 59.8% → 2023년 52.7% (사람들을 덜 믿게 됨)

사회적 신뢰가 줄어든다는 건 서로 믿지 못하고 불안한 사회가 되어간다는 뜻이에요. 우리가 신뢰를 회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앞으로 우리는?

2024년 국민 삶의 질 보고서를 살펴보니, 일부는 좋아졌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요.

  • 일자리는 늘었지만, 만족할 만한 수준일까?
  • 정신 건강과 환경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까?
  • 사람들 사이의 신뢰를 다시 높일 수 있을까?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선 정부의 정책뿐만 아니라 우리 개개인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해요. 여러분은 지금의 삶에 만족하나요? 무엇이 바뀌었으면 좋겠나요?

반응형